채권 시장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규모로 봐도 22년 기준 글로벌 주식 시장 109조 달러(14경), 글로벌 채권 시장은 133조 달러(17경)으로 주식 시장 보다 큰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채권이란 무엇인가?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무증권입니다. 채권을 구매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발행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행위이며, 발행자는 정해진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가 도래했을 때 원금을 반환합니다.2.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
쿠폰 이자율 : 채권이 발행될 때, 발행자는 채권에 고정된 쿠폰 이자율을 설정합니다. 이 이자율은 채권의 만기 동안 변하지 않으며, 채권의 명목 가치에 기반한 정기적인 이자 지급을 결정합니다.시장 금리 변화 : 채권이 발행된 후 금리가 변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그 변화된 금리에 맞추어 새로운 쿠폰 이자율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기존 채권보다 높은 쿠폰 이자율을 제공해야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금리에 따른 쿠폰 이자율의 변화로 금리와 채권 가격은 역관계에 있습니다.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𑇐 금리 상승
- 기존 채권 가격은 하락
- 원인 : 신규 채권의 이자율의 상승
𑇐 금리 하락
- 기존 채권 가격은 상승
- 원인 : 신규 채권 이자율의 하락
3. 금리는 어떻게 결정될까?
금리는 경제의 기본적인 측면 중 하나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여기서 언급된 금리 결정 요인들은 중앙은행의 정책, 경제 지표, 그리고 시장의 기대감이 있습니다.중앙은행의 정책
(1) 기준금리 조정 : 중앙은행은 경제의 안정성과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조정합니다. 이 금리는 은행들이 중앙은행에게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이자율로, 경제 전반의 금리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통화 정책의 도구로서의 금리 : 금리는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실행하는 주요 수단 중 하나입니다. 금리 조정을 통해 경제에 유동성을 제공하거나 회수할 수 있습니다.
경제 지표
(1)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율이 높으면,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낮은 경우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2) 실업률 : 실업률이 높은 경우 경제 활동이 둔화되었다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추어 경제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3) GDP 성장률 : 경제 성장률이 낮거나 마이너스인 경우 중앙은행은 금리 인하를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높은 성장률은 금리 인상의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시장 기대
(1) 투자자의 기대감 : 투자자들의 경제에 대한 기대와 전망도 금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 성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은 금리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2) 경제 전망과 금리 예측 : 시장 참가자들은 경제 데이터, 중앙은행의 발언, 글로벌 이벤트 등을 토대로 미래의 금리 수준을 예측하려 합니다. 이러한 예측은 현재의 금리 수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CME, Investing 등의 웹사이트를 봐도 금리 예측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참고글